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

<딕테의 역설> 2강 강의록 보호되어 있는 글입니다. 더보기
샤리 라슨Chari Larsson, 라슬로 네메시의 『사울의 아들』 속 괴물 만들기Making Monsters in László Nemes’ Son of Saul (2016) 라슬로 네메시의 『사울의 아들』 속 괴물 만들기 샤리 라슨Chari Larsson 원문: http://sensesofcinema.com/2016/feature-articles/son-of-saul/ 내가 쓰고, 보고, 구도를 잡고, 사진을 찍고, 나의 사진을 전시하고 이러한 것들 모두에 대해 생각하는 일을 계속해야 한다면, 그것은 그토록 불완전한 문장을 내놓기 위해서이다. “상상할 수 없는 일이기 때문에, 그 모든 것에도 불구하고 나는 상상해야만 한다.” —조르주 디디-위베르만[각주:1] 호러 스토리, 얼굴은 호러 스토리이다. —질 들뢰즈, 펠릭스 가타리.[각주:2] 2015년 8월, 프랑스 철학자이자 미술사학자 조르주 디디-위베르만은 헝가리 감독 라슬로 네메시에게 다음과 같은 공개 서한을 보낸다. 친애.. 더보기
캐시 박 홍Cathy Park Hong, 증언에 반反하여Against Witness 증언에 반反하여 캐시 박 홍 더 많은 작가들과 예술가들이 인터넷 독/시청자를 염두에 두고 자신들의 작업을 맞춰가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대범하고 보정되지 않은 색깔을 이용해 트렌디한 추상회화를 만드는 그림쟁이들은, 이 그림들이 인스타그램에서 보여지건 갤러리에서 보여지건, 무언가를 더 잃거나 얻을 일이 없다. 온라인에서 이 그림들은 소파 색상 선택지만큼이나 쉽게 파악되며, 이는 실제로 작품을 경험하기엔 너무 바쁜 콜렉터들에게 있어 최적이다. 비슷하게, 글쟁이들 또한 의도가 분명한 압축방식을 통해 글을 쓰는 이들이 있다. 이 작가들은 자신들의 문장들이 원자 단위로 분해되어 트윗으로 사용될 것을, 그리고 자족적이고 끊임없이 링크될 수 있는 파편으로 갈려질 것임을 잘 알고 있다. 하지만 도리스 살세도Doris .. 더보기
도로시 왕Dorothy Wang, 존재를 사유하기Thinking Its Presence - 서문 일부번역 원문: https://hangildoogil.tistory.com/attachment/cfile26.uf@9921B04D5D298D9A180AA6.pdf Introduction 동시대 시학연구의 미학 대 “정체성” 프레임 오늘날 시학계의 상황을 보여주는 몇 장면들 PMLA(현대언어협회Modern Language Association의 공식 출간물. 100개국에 걸쳐 가입되어 있는 3만명 이상의 회원들에게 배부됨)의 2008년 1월호는 라는 제목으로, 여덟명의 저명한 문학평론가들이 기고한 에세이가 실렸다. 이 글들이 시작점으로 삼고 있는 것은 유명한 시 평론가 마조리 펄로프Marjorie Perloff가 2006년 12월에 필라델피아에서 열린 연례 회의에서 발표한 MLA 협회장 연설문인 . 이 연설문은 나.. 더보기
Lisa Lowe리사 로우, "Heterogeneity, Hybridity, Multiplicity" (1991) 이종성, 혼종성, 다성성 일부 번역 “민족주의”와 “동화주의”를 둘러싼 논쟁을 좀 더 명확하게 하기 위해, 문화 재현에 관한 아시아계 미국인 정체성 논의를 살펴보자. 아시아계 미국문학의 독자층이라면, 프랭크 친, 벤 통과 다른 이들이 작가 맥신 홍 킹스턴에 대해 비판한 사실을 잘 알고 있을 것이다. 이러한 비판은 킹스턴의 “동화주의적” 저서에 대한 민족주의적 비판으로 여겨졌다. 킹스턴의 자전/소설, 가 이러한 비판의 표적이 된 이유는 이 저서가 처음으로 “정전화”된 아시아계 미국문학 작품이기 때문이다. 이러한 의미에서, 어쩌다가 그리고 도대체 왜 이 텍스트가 아시아계 미국문화의 대표적 재현물로서 물신화 되었는지에 대한 비판은 필요한 것이며, 중요한 것이다. 하지만 친의 비판은 아시아계 미국 문화 내의 다른 주요 긴장관계들을 보여준다. 그는.. 더보기
티모시 유Timothy Yu, 인종과 아방가르드Race and Avant Garde (2009) 4장 Audience Distant Relative 일부번역 1970년대 말에 이르러, 언어시와 아시아계 미국인 시는 어느 정도의 성공을 거뒀다. 각각의 시파는 공통의 정치적 그리고 미학적 프로젝트에 참여적인 감각을 가진 작가들로 번창하는 공동체를 갖게 되었다. 각각의 시파는 자신들만의 생산, 그리고 수용 기관들을 갖추게 되었고, 이는 문학지에서 독서교실, 선집 등을 포함했는데, 이를 통해 작가들의 글들이 유통되었고 논의들이 시작될 수 있었다. 또한, 각 시파는 뛰어나고 혁신적인 작업들을 생산하여, 이를 통해 도래할 시대의 새로운 사회적 정체성에 적절한 시적 형식을 모색하려 노력함으로써, 과거 미국 시학에서 할 수 있었던 것, 허용 되었던 것들을 넘어설 수 있었다. 간단하게 말해, 아시아계 미국 시와 언어시는 이제 제도권의 아방가르드가 된 것이다. 사회적 집단으로.. 더보기
제시카 하헤도른 외, 『찰리 챈은 죽었다』 Charlie Chan is Dead (1993) 글머리/서문번역 미국에서 인종차별주의의 “움직이는 눈”은 인종을 기반으로 구성된 공동체들을 생성하고 통제했으며, 이들이 각 특정 시점에서 미국의 주류 사회에 끼칠 수 있는 위협의 정도에 따른 의미를 이들 공동체에게 부여하였다. 아시아 출신의 이들이 모인 공동체들은 “오리엔탈”이라고 불리었으며, 이는 이름 없는 “중심”의 동쪽 그리고 주변부를 의미했다. 역사적으로, 아시아계 미국인(이라고 우리가 다시 이름지었다)들은 미국의 인종과 문화 담론에서 “모범 소수자”로서, 혹은 동화되지 못하는 외부인으로서 말고는 아무 위치도 주어지지 못했다. 우리는 주류 문화의 궁극적인 이로음을 설파하는 발언, 그리고 이러한 도식을 따라하기를 거부하는 궁극적인 불량함을 설파하는 발언으로 양분되었다. 동양과 서양, 아시아와 아메리카, 그리고 의심.. 더보기
<딕테의 역설> 1강 강의록 보호되어 있는 글입니다.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