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

오다와라 노도카, 『모뉴먼트 원론: 사상적 과제로서의 조각 (2023)』 (부분발췌) 1.5 Monuments Must Fall?—BLM의 조각상 삭제에 대하여삭제 이후 무엇을 물을 것인가2020년의 미국 독립기념일 7월 4일은 주말이었다. 이날, 당시의 미 대통령인 도널드 트럼프는 미국 중서부 사우스 다코다주의 러쉬모어 국립기념공원을 방문하여 역대 대통령 네명의 상모相貌가 새겨진 산맥을 배경으로 하고 연설했다. 이곳에서의 연설은 인종주의에 항의하는 사람들이 기념비나 동상 등을 파괴하는 일은 미합중국의 역사를 지워버리는 것과 마찬가지라고 말이다. 트럼프는 그러한 행동을 강하게 비난했다. 이 연설이 러쉬모어의 국립기념비 앞에서 행해진 것이 중요하다. 이 러쉬모어 산에 새겨진 역대 대통령은 오른쪽부터 초대 대통령 조지 워싱턴, 3대 대통령 토마스 제퍼슨, 26대 대통령 테오도르 루즈벨트, 1.. 더보기
오다와라 노도카小田原のどか, 「보이지 않는 기념비」 (2020) *오다와라 노도카(小田原のどか), 『모뉴먼트 원론: 사상적 과제로서의 조각モニュメント原論: 思想的課題としての彫刻』 (세도샤[青土社] 2023) 중 1.4장인 「보이지 않는 기념비不可視の記念碑」 (78-103쪽)를 일부 번역한 것입니다. 유이 주노신(由比忠之進),
에토 고사부로(江藤小三郎),
헤더 하이어(Heather D. Heyer),그리고 
'소실'된 1억 4천만 명의 여성들에게 1.
레이와(令和) 원년[2019] 10월 19일, 나는 미나마타(水俣)에 있다.
『현대사상』에서 이소자키 아라타(磯崎新) 특집을 구성한다고 한다. 기고 의뢰를 받았을 때, '와' 하고 탄성이 나왔다. 단게 겐조(丹下健三)였다면 몰라도, 이소자키를 평할 논점을 갖추고 있지 않은 차였다. 머리를 굴려본다. 쓸 수 있는 것이 있.. 더보기
시가 나오야(志賀直哉), 「국어문제 國語問題」(1946) 지금처럼 혹독한 시대를 일본은 이전에 경험한 적이 없다. 여러가지 문제들이 노도처럼 계속해서 밀려온다. 망연자실의 허탈상태가 된 것도 무리는 아니다. 가장 불안한 것은 식량문제이다. 최근 또, 식선(食膳밥상)이 갑자기 허전해졌다. 작년의 이맘때쯤처럼 그것이 심신에 부응했던 것을 것을 생각하면 우울해진다. 인플레이션의 문제, 교육의 문제, 실업의 문제, 모두 중요한 일 투성이다. 외지의 동포, 거기에 조선 북쪽과 만주에 있는 일본인은 어떻게 되는 것일까. 소식을 조금도 알 수 없다. 길에는 전염병이 돌기 시작했다. 여러가지 범죄가 가상다반사(家常茶飯事)처럼 횡행한다. 그것에 대한 마땅한 대책은 무엇 하나 행해지고 있지 않다. 단, 우리들로서는 말하고 싶은 것을 말할 수 있도록 된 것, 잘 시간에 자고 다.. 더보기
안소현, 정은영, 《우리가 그랬구나》, 그리고 일본군'위안부'문제연구소 14회 광주비엔날레에서 선보인 기후범죄법정 작업으로 한국에서도 알려진 네덜란드 작가 요나스 스탈(Jonas Staal)이 2024년 4월에 이플럭스에서 공개서한을 게재했다. 독일학술교류처장 조이브라토 무커지(Joybrato Mukherjee) 앞으로 쓰인 이 편지에서, 스탈은 (1) 자신이 독일학술교류처(DAAD)의 베를린 예술가 레지던시 프로그램(Berliner Künstlerprogramm) 롱리스트에 올랐지만 이를 거절하는 의사를 표했고, 거절의 이유로 (2) 쾰른대학교의 알베르투스 마그누스 초빙교수로 내정되어 있던 미국의 정치이론가 낸시 프레이저(Nancy Fraser)의 초청 취소를 들며, 결정권자인 독일학술교류처장 무커지를 규탄했다. 프레이저의 초청이 취소된 이유는, 그가 이스라엘이 가자에서 .. 더보기
알릭스 룰, 데이빗 레빈, 「인터내셔널 아트 잉글리시」(2015) 보호되어 있는 글입니다. 더보기
극단 신세계, 『별들의 전쟁』(2021) 『별들의 전쟁』은 2018년 4월 열렸던 "베트남전 당시 한국군에 의한 민간인학살에 대한 시민평화법정"을 바탕으로 만들어져 상연된, 극단 신세계의 공동창작 연극 작품이다. 실제로 시민평화법정을 주도했던 한겨레 고경태 기자, 한베평화재단 구수정 전 이사, 시민평화법정 조사팀 간사 심아정 선생님, 민변의 박선영 변호사, 그리고 『기억의 전쟁』을 만든 이길보라 감독의 자문을 받았으며 상연기간 내내 공연장소인 아르코예술극장 입구 근처에서는 한국의 베트남전 참전 역사를 왜곡하는 연극을 반대한다는 팻말을 걸고 유인물을 나눠주는 사람(들)이 있었다. 연극은 "재판극"으로 소개되었는데, 이는 재미있게도 실제 시민평화법정 준비과정에 있었던 한 일화를 상기시켰다. 준비기간에 있었던, 법률팀, 조사팀, 총무팀 등으로 구성된.. 더보기
오쿠이 엔위저, "아카이브 열병: 역사와 기념비 사이의 사진 Archive Fever: Photography Between History and the Monument" (2008) Archive Fever: Uses of the Document in Contemporary Art (2008) 전시와 연계된 도록 출판물에 수록된 큐레이터 오퀴 엔위저의 글을 급하게 발번역한 것입니다. 아카이브란 첫번째로 무엇이 말해질 수 있는가에 관한 원칙, 즉 발언statement들을 특별한 사건으로서 관장하는 체계이다. 하지만 아카이브라는 것은 말해진 이 모든 것이 형체를 알아보기 힘든 덩어리로 축적되지 않도록 결정하는 것이기도 하고, 우연하게 발생한 외부의 사고로 인해 사라지지 않게 결정하는 것이기도 하다. 이것들은 뚜렷하게 별개의 개체로 그룹지어져서 복수의 관계들에 의해 구성되고, 이러한 구분들은 특정한 규칙성에 의해 유지되거나 흐려진다. 아카이브란 이것들이 같은 속도로 사라지지 않도록 결정하.. 더보기
안트 슈나이더Arnd Schneider 확장된 시각들: 인류학적 연구와 실험영화를 통한 재현 재고 "Expanded Visions: Rethinking Anthropological Research and Representation through Experimental Film" (2011) Tim Ingold, Redrawing Anthropology: Lines, Materials, Movements (2011)에 수록된 Arnd Scheneider의 논문을 일부분 번역한 것입니다. 서론 이 장에서 나는 실험영화 창작의 실천들에 대한 비판적 리뷰를 제공하고 이 실천들이 인류학적 연구와 재현에 관해 시사할 수 있는 중요성에 대해 탐구한다. "몽타쥬라는 영화적 은유"라는 것은 민족지학적 기술 (Marcus 1995), 시각인류학과 민족지학적 영화 (Grimshaw 2001), 그리고 현상학에 영향받은 민족지학적 연구 (Willerslev and Ulturgasheva 2006)와 관련해 널리 논의되었다. 이에 반해, 실험영화, 특히 1970년대의 소위 "구조주의" 혹은 "유물론주의"mater.. 더보기